[고경태 목사] 24-07-03 07:04
『교회교의학』 I/1은 박순경 교수가 번역했고(대한기독교서회), 목차는 다음과 같다. 서론(Einleitung) 1. 교의학의 과제 2. 교의학에 대한 서설의 과제 - 하나
[박근호 목사] 24-07-03 06:52
‘하나님’은 태초와 함께 사용되고 있다. 성경은 창세기부터 요한계시록까지 66권으로 묶어져 있다. 너무 방대하여 성경의 주제에 접근하는 데 큰 난관을 만날 수 있다.
[고경태 목사] 24-06-11 15:13
Gott in seiner Offenbarung will ja gerade das nicht, daß der Mensch versuche, selbst mit seinem Da-sein fertig zu werden, sich selbst zu rechtfertigen und zu h
[박근호 목사] 24-06-11 15:12
“주 안에 있는 나에게 딴 근심 있으랴”는 자주 부르는 찬송가다. 이 찬송가를 근성으로 부르는 경우가 참으로 많다. 이것은 신(神)의 존재와 직결되고 있다. 인간 자기의
[고경태 목사] 24-05-22 09:54
칼 바르트 『교회교의학 I/2』, § 17 “종교의 지양으로서의 하나님의 계시(Gottes Offenbarung als Aufhebung der Religion)” 2. 불신앙으로서 종교에서 2.(KD., 335; G
[박근호 목사] 24-05-22 09:53
일기(日記)는 에스더서에만 나오고 있다. 이것의 가치는 66권에서 유일무이(唯一無二)함에 있다. 에스더서를 거론하면, “죽으면 죽으리이다”는 따라 나온다. 인간에게 목
[고경태 목사] 24-04-30 21:49
반틸 박사가 바르트에게 Saga에 대해서 질문했을 때, 바르트는 대답하지 않았다. 브로밀리(Geoffrey W. Bromiley)가 대답을 간청했지만 답변하지 않은 이유를 밝혔다고 한
[박근호 목사] 24-04-30 21:46
에스겔서는 4대선지서에서 세 번째에 속해 있다. 이 논리나 순서도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 구약성경에서 자손언약을 이어 땅언약을 성취한다. 그다음에 통치언약을 완성하
[고경태 목사] 24-04-10 14:29
우리는 앞에서 바르트가 계시 안에서 인식하는 신만을 택하고, 계시에 의한 것이 아니면 저항(Widerstand)하라고 주장하는 것을 보았다. 바르트는 계시로부터 발생된 것으
[박근호 목사] 24-04-10 14:27
경건회는 교회에서 대단히 중요하다. 그것은 경건(敬虔)의 의미에서 증명되기 때문이다. 교회의 생활에서 경건회는 실제로 행하여지고 있다. 경건의 실제는 비교적 쉽게 다
[고경태 목사] 24-03-19 17:30
우리는 신학자들, 특히 현대 신학자들을 탐구하려면 반드시 신학 어휘 개념을 명확하게 설정해야 한다. 신학교에서 마지막 과정에 현대신학이 배치되어 있는데, 그것은 신
[박근호 목사] 24-03-19 17:29
구약성경 39권과 신약성경 27권은 매우 논리적이며 체계적이다. 이 논리는 상대적으로 시간성과 더 밀접하다. 그 중심에 구약시대와 신약시대가 자리 잡고 있다. 또 그 체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가 한국교회 통사 여섯 번째 책으로 『새로
사단법인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가 연구소 설립 40주년을 기념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