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8-12 14:05
로마 가톨릭은 로마 제국의 정치와 종교의 연속이라고 해도 무방하다. 앞서 다루었듯이 로마 가톨릭의 수많은 종교 의식들이 로마 제국의 왕실과 민간에 이미 수백 년 동안
[박홍기 박사] 25-07-14 20:56
니체는 당시 유럽의 지적 풍토를 보며 학자들은 “실천적인 염세주의자”(352)가 되었다고 비판한다. 지적 즐거움이 몰락임을 직감하면서 궁극적 이념과 이상적(理想的) 목
25-06-24 09:49
서방 라틴신학 곧 로마 가톨릭 사상은 로마 제국주의의 유산을 바탕으로 삼고 있으며 그래서 “라틴어의 관료적인 엄밀함을 반영”하면서 동로마제국과 맞서는 역사를 전개
[박홍기 박사] 25-06-04 09:27
니체는 기독교를 좀처럼 수용하지도 않지만 동시에 기독교를 합리성의 이름으로 해체하려는 근대 지성도 강하게 비판한다. 니체는 객관성을 자임하는 근대 계몽주의에 대해
25-05-13 09:44
‘중세’라고 할 때 그 기준은 476년 서로마 제국의 멸망 시점부터 1000년경까지의 유럽 역사로 중세 고전 문화가 형성되는 시기를 일컫는다. 중세 초기는 정치적으로 분열
[박홍기 박사] 25-04-15 09:00
“역사의 가치는 잘 알려진, 그래서 아마 평범한 주제, 즉 일상의 선율을 재치 있게 편곡하고 고양시키고 포괄적인 상징으로 만들어서 원-주제(Original-Thema) 속에서 심
25-03-25 23:03
로마 가톨릭 미사는 기독교 고유의 예배 형식이 아니다. 이는 로마 제국의 공적·종교적 의식과 전례 전통의 혼합물이다. 가톨릭 미사는 특히 로마 제국의 권위, 의례 형식
[박홍기 박사] 25-02-25 20:50
인간은 과거의 거미줄을 짜고 과거를 제어하며, 그렇게 그의 예술적 충동이-그의 진리 충동이나 정의 충동이 아니라-표출된다. 니체에 의하면 역사 탐구가 진리를 향한
25-02-04 16:50
서로마 제국은 주후 408년 서고트족(Visigoths)의 왕 알라리크(Alaric, 370-410)에 의해 침략당한다. 당시 제국은 기근과 전염병 그리고 내부 반란과 왕국 배신자들까지 혼
[박홍기 박사] 25-01-14 10:07
강한 인격만이 역사를 감당할 수 있으며, 약한 인격은 그것을 완전히 소멸시킨다. 니체의 초기 철학에서 역사관은 매우 중요한 고민거리였다. 그는 역사를 감당할 수 있
24-12-26 09:39
“자신의 아내를 너무 열정적으로 사랑하는 사람은 간음한 자이며…다른 사람의 아내에 대한 사랑은 참으로 부끄러운 것이다. 그러나 자신의 아내에 대한 과도한 사랑도 마
[박홍기 박사] 24-12-03 12:50
인간은 살기 위해 과거를 파괴하거나 해체할 힘을 가져야만 하고 때에 따라 실제로 그렇게 해야 한다. 그렇게 하기 위해 그는 과거를 법정에 세우고 고통스럽게 심문하고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가 한국교회 통사 여섯 번째 책으로 『새로
사단법인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가 연구소 설립 40주년을 기념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