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경태 목사] 25-06-24 09:33
우리는 바르트가 교회의 기능을 “신학, 학문(Theologie, Wissenschaft)”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신학과 학문을 같은 수준으로 놓아야 한다고 주장한 것을 밝혔다. 우리는
[고경태 목사] 25-06-04 09:23
우리는 바르트가 교회의 기능을 “신학, 학문(Theologie, Wissenschaft)”으로 규정하고 있다고 제시했다. 학문으로서 신학은 인문학적 신학이다. 우리는 최근에 일어난 인
[고경태 목사] 25-05-13 09:41
우리는 바르트가 교회의 기능을 “신학, 학문(Theo-logie, Wissenschaft)”으로 규정하고 있다고 제시했다. 바르트의 글은 너무나 아픈 부분을 찌르는 것 같다. 그러나 그
[고경태 목사] 25-04-15 08:53
바르트 교의학의 시작은 “현존하는 교회에서 발생하는 하나님에 관한 교회의 언어인 인간적인 선언”의 검증에 있다. “Dogmatik ist als theologische Dizziplin die wis
[고경태 목사] 25-03-25 22:59
문병호 교수가 “정통 개혁신학 계시론적-삼위일체론적-기독론적-구원론적 관점에서”에서 『칼 바르트 신학 비판』 도서를 레포르마티오(2025년 3월)에서 출간했다.
[고경태 목사] 25-02-25 20:43
[고경태 목사] 25-02-04 16:45
우리는 바르트 신학을 공부하거나 비평할 때에 자기 신학 개념을 명확하게 세우는 것을 제언했다. 혹은 명확하게 세우는 훈련을 병행해야 한다. 그래서 바르트의 개념에 동
[고경태 목사] 25-01-14 09:53
칼 바르트의 신학, 그의 『교회교의학』은 독자가 자기 신학 개념을 확립해야 독서가 가능하다. 그것은 자유주의 신학은 정통신학의 믿음으로 신학에서 이성의 합리성을 추
[고경태 목사] 24-12-26 09:33
우리는 칼 바르트의 『교회교의학』 I/1의 첫 문장을 놓고 길게 이야기했다. 바르트는 『교회교의학』 I/1 시작을 “1. 교회, 신학, 학문(KIRCHE, THEOLOGIE, WISSENSCHAFT
[고경태 목사] 24-12-03 12:47
칼 바르트(Karl Barth, 1886~1968)는 20세기 최고의 신학자이다. 바르트가 받는 최고란 칭호는 가장 큰 영향력을 의미하는 것이며, 신학 내용의 정통성과 바름(sound)을 의
[고경태 목사] 24-11-14 07:31
바르트의 『교회교의학』은 ‘4권’으로 구성되었지만 본래 5권으로 구성하려고 했다고 한다. 3권 창조론, 4권 화해론, 5권 성령론으로 구성하려고 했다고 한다. 그런데 4
[고경태 목사] 24-10-22 10:32
우리는 칼 바르트의 『교회교의학』을 매우 천천히 읽으면서 이해를 시도하고 있다. 그것은 바르트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바르트를 이해하려고 하는 ‘나’를 정립하고 이해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가 한국교회 통사 여섯 번째 책으로 『새로
사단법인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가 연구소 설립 40주년을 기념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