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호 목사] 23-01-11 19:53
구약성경과 신약성경을 합쳐서 전체의 핵심어이며 동시에 뿌리가 되는 말씀은 여호와이다. 이것은 빅(Big)데이터와 인공지능 시대를 맞이하여 참으로 고무적이며 놀라운 사
[고경태 목사] 23-01-11 19:46
성령, “신학과 신학에서 성령이 강조되어야 한다”는 것은 현대신학에서 결코 생략되지 않은 중요한 요소이다. 그런데 성령의 사역이 어떤 매개가 없이 주도적인 활동한다
[박근호 목사] 22-12-20 21:10
“아버지”는 요한복음에 제일 많다. 이 아버지는 구약성경의 여호와 하나님에서 신약성경으로 연결되고 있다. 이런 구약성경에 신약성경을 연결한다는 것은 참으로 중요하
[고경태 목사] 22-12-20 21:06
바르트의 계시의 주관적 현실성(Wirklichkeit), 가능성(Möglichkeit)은 바르트의 계시 개념을 이해하는 데 가까이 간다. 바르트는 이 부분에서 단일계시적 개념
[박근호 목사] 22-11-30 20:53
2022년 10월 가을에 대한민국 서울에서, 수백 명의 젊은이들이 이 땅에서 육신을 벗었다. 이러한 육신(肉身)에 온 마음을 쏟는 것이 인지상정이다. 성경은 창세기부터 요한
[고경태 목사] 22-11-30 20:48
서철원의 박사 논문 제목은 “예수 그리스도의 창조-중보자직: 창조와 성육신 관계에서 연구”이다. The Creation-Mediatorship of Jesus Christ: A Study in the Relation
[박근호 목사] 22-11-09 20:26
성경은 여호와 하나님의 섭리를 강조하고 있다. 엄밀히 보면, 성경 전체는 여호와 하나님의 통치섭리다. 여기서는 통치언약을 성취하는 곳으로, 룻기부터 에스더서까지를
[고경태 목사] 22-11-09 20:22
바르트는 § 16.1에서 “성령 계시의 주관적 현실성”을 다루었고, § 16.2에서 “성령 계시의 주관적 가능성”을 진행한다. “현실성과 가능성”은 § 15에서 예수 그리스
[박근호 목사] 22-10-17 22:18
성경은 여호와 하나님의 섭리(攝理)다. 언약섭리와 성취섭리이다. 이 말에는 대개 큰 거부를 일으키지 않을 것이다. 보통 일반적으로 성경의 중심적인 주제를 놓치고 극히
[고경태 목사] 22-10-17 22:14
바르트에게 객관성은 교회이다(Die Kirche als der Raum, in welchem Gottes Offenbarung subjektiv wirklich ist, hat eben tatsächlich diese streng objektiv
[박근호 목사] 22-09-26 20:45
인간끼리 함께한다는 것은 대단히 중요하다. 그것은 대부분 생활의 중심이기 때문이다. 인간으로서 최대의 행복은 신(God)께서 함께하시는 것이 아닐까? 인간에게 일평생
[고경태 목사] 22-09-26 20:40
칼 바르트는 교회를 기반으로 계시의 주관적 현실성을 제시했다. 바르트가 제시하는 교회는 전통적인 교회 개념은 아니다. 바르트는 교회를 그리스도의 실존이 실현되는 곳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가 한국교회 통사 여섯 번째 책으로 『새로
사단법인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가 연구소 설립 40주년을 기념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