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일 장로회신학대학교 소아암 봉사동아리 ‘리커버(RECOVER)’가 서울아산병원 소아암 병동을 방문해 여름방학 음악회를 열었다고 전했다. 소아암 병동 내에서 음악회를 진행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병동 내 작은 공간이었지만 공연 내내 자리를 가득 메운 환아들과 보호자들로 뜨거운 반응을 이끌었다고 했다. 이번 음악회는 ‘햇살나
고신대학교(총장 이정기)와 부산극동방송(지사장 박광현)이 공동 주최한 ‘해설이 있는 명화극장’ ‘킹 오브 킹스’ 시사회가 지난 3일 해운대 센텀시티 CGV 영화관에서 개최되었다. 이번 시사회는 복음주의적 해석과 최첨단 애니메이션 기술이 결합된 장성호 감독의 K-애니메이션 ‘킹 오브 킹스’를 소개하는 자리로, 영화를 통해 예수 그리
[성경신학] 제1권 여호와의 언약 (구약)_55
박용기 원로연구원
여호와 계시 (구약∼신약) 제1권 여호와의 언약 (구약) 제1편 섭리를 통한 언약 (창〜에) 제1장 여호와의 언약섭리 (창 1:〜36:) 제2절 선민의 열조와 언
[신학] 바르트, 자유주의 연속과 불연속 (2)
고경태 목사
칼 바르트의 신학은 자유주의를 연속하는 것일까? 불연속하는 것일까? 자유주의는 ‘이성’과 ‘내주주의’이고, 칼 바르트 신학은 ‘계시’와 ‘초절주의’이기 때문에 불연속이라고
[시론] 성경의 절대 권위와 정경 확정의 섭리 과정 (Ⅶ)
박홍기 박사
8. 특별계시 완성과 모든 문헌의 방편화 성경 계시 기록의 정경성 확정은 전적으로 하나님의 주권적 사역이다. 정경의 신적 권위를 소홀히 하면 바른 신학을 수립할 수 없다. 성경
로마 가톨릭은 로마 제국의 정치와 종교의 연속이라고 해도 무방하다. 앞서 다루었듯이 로마 가톨릭의 수많은 종교 의식들이 로마 제국의 왕실과 민간에 이미 수백 년 동안 견고한 문화로 자리 잡았던 의식들이다. 여기에 기독
니체는 당시 유럽의 지적 풍토를 보며 학자들은 “실천적인 염세주의자”(352)가 되었다고 비판한다. 지적 즐거움이 몰락임을 직감하면서 궁극적 이념과 이상적(理想的) 목적은 허구임을 주장하는 니힐리스트(허무주의자)의 논
독일 개신교는 최근 더 심각한 위기에 직면했다. 신자 수 급감과 국가의 기독교 지원에 대한 국민적 반발로 재정적 어려움이 점점 압박을 가하고 있기 때문이다. 교회 건물은 부지기수로 폐쇄되거나 매각당하거나 다른 용도로
바울이 아레오바고 가운데 서서 말하되 아덴 사람들아 너희를 보니 범사에 종교성이 많도다 내가 두루 다니며 너희의 위하는 것들을 보다가 알지 못하는 신에게라고 새긴 단도 보았으니 그런즉 너희가 알지 못하고 위하는 그
<지난 호에 이어서> 3. 메시아 언약과 주권성 ‘여호와의 메시아 언약’인 잠언은 장차 올 마지막 아담에 대한 언약을 ‘주권성’ 찬양 중심으로 계시된 내용이다. 특히 찬양을 통해 언약대로 삼대언약을 오직 자
<지난 호에 이어서> 2. 잠언의 통일 구조에 계시된 주권성 4) 직관적 판단의 지식: 주권성의 실제 절대주권적 섭리 방식으로 언약대로 성취하시는 여호와는 이스라엘 역사 섭리에 바탕을 두고 주권성을 찬양
Ⅲ. 성만찬 제정: “이를 행하여 나를 기념하라” 2. 성례전은 물질이 하나님의 은혜를 매개하는 행동 <지난 호에 이어서> 이 마가의 다락방에서 예수는 제자들과 만찬을 하신다(마 26:17). 제자들과 식사를 하
Ⅲ. 성만찬 제정: “이를 행하여 나를 기념하라” 1. 성만찬의 구속사적 의미 성만찬 제정 기록은 공관복음(마 26:26-29; 막 14:22-25; 눅 22:19-20)과 고린도전서 11장 23절-26절에 있다. 사도 바울의 본문이 문학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