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예수교장로회연합회 교회동역자협회  

특별기획

 
작성일 : 22-05-09 21:31  기사 출력하기 글쓴이에게 메일보내기
 

W.C.C.의 사회구원적 기독론에 대한 비판적 분석


* 논문의 출처. 발행기관: 개혁신학회, 간행물: 개혁논총 19권 0호, 발행 연도: 2011년, 페이지: 111-145(35pages)


3.2 유사 기독론

이제는 2013년 제10차 총회(부산)를 기점으로 WCC 참여자 가운데 더욱 노골적으로 탈기독론을 제안하고 있다. 최근 세종대의 이은선은 WCC가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를 하나님이며 구세주로 고백하는 교회들의 협의체’라고 정리한 것에 불만을 품고, 이러한 기독교의 배타주의와 우월주의를 서술하는 방식을 포기할 것을 주문하였던 것이다. 그녀는 2013년 부산 총회에서 기독론을 재정립할 것을 촉구하면서 종교 다원주의에 기초한 새로운 형태의 기독론을 제시하였다. 유교적 이해를 바탕으로, 유교에서 인간이 성인이 될 수 있다는 논리에 의존하여 타 종교인들 모두는 기독교적 신학적 의미로서 그리스도가 될 수 있다고 보고, “복수(plural) 기독론”을 주장하였던 것이다. 이제는 종교 다원성을 넘어 종교 다원주의를 노골화하자는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이제 미래의 WCC는 유사 기독론을 넘어 탈기독론 혹은 무기독론에 기초한 완전한 종교 다원주의를 지닌 단체로 전락할 우려를 갖게 한다고 하겠다. 드디어 WCC(세계교회협의회)는 WCRM(세계종교인협의회)으로 개명되는 날이 오게 되는 것이다.


4. 결론

지금까지 우리는 WCC의 사회구원적 기독론을 살펴보았다. WCC는 처음부터 사회구원적 교회 사역을 목적으로 두었기 때문에 기독론은 매우 취약할 수밖에 없었다. 교회 연합 운동조차도 이름만 남겨두었을 뿐, 교회는 세상의 정의와 평화를 세우는 일에 매진하면 되었다. 정치, 사회, 경제적 구조 악으로부터 인간 해방을 위해 투쟁하는 것은 교회의 참된 ‘구원’ 사역이었던 것이다. 이 일에 종교 다원성 혹은 종교 다원주의적 경향은 자연스럽게 귀결될 주제였다. 이 모든 사회구원은 기독론이 그 중심 역할을 하였다. 구조 악의 희생과 고통은 그리스도의 것이며, 그리스도를 세상의 부정의와 부자유로부터 해방시키는 자로서의 정치적 메시아로 규정하였던 것이 그 실례이다. 나아가 해방자로서의 그리스도는 보편속죄론에 따라 모든 사람의 구세주가 되게 하였다. 이제 기독론의 독특성은 사라지게 되었던 것이다. WCC가 칼케돈 신조를 거부한 것은 기독론의 진정성을 의심하게 하는 결정적 단서이다. 비록 지금도 여전히 예수 그리스도를 주요 구세주로 받아들이고는 있지만 종교적 다원성을 주장하면서 WCC는 자기모순에 빠지고 말았다. 이제 기독론에 대해서는 자신감을 상실한 듯하다. 기독론은 이름만 내걸 뿐, 신론이 사회구원의 중심적 기초를 대신하고 있다. 탈기독론이 선언될 위험을 예단하는 것이 무리는 아니다. 일부이기는 하지만, WCC 내부에서 노골적으로 종교 다원주의를 부르짖고 있어서, 기독론의 독특성이 얼마나 오래 버틸지 의심스럽다.


<참고문헌>

김길성. “W.C.C. 신학에 대한 이해와 평가.” 「개혁논총」 제16권, (2010): 80-128.
김세윤. “바울신학 강의안 10강.” http://www.crossvillage.net/index.php?document_srl=11171 2006.11.28
김영한. “WCC 종교대화 프로그램의 전개과정에 대한 비판적 성찰.” 한국개혁신학회 제30회 정기학술심포지엄」 (2011년 5월 14일).
박형룡. “에큐메니칼 운동의 교리와 목적.” 「신학지남」 118호 (1958년 여름호): 11-22.
양낙흥. “W.C.C.의 공식 문서에 나타난 종교 다원주의의 발전과정.” 「개혁논총」 제16권, (2009): 129-159.
유태화. “W.C.C.의 사회참여, 구원의 통전성인가? 사회복음인가?” 「개혁논총」 제16권, (2010): 9-43.
이은선. “1980년대 이후 세계교회협의회의 선교선언문에 나타난 ‘하나님의 선교’와 복음전파, 개종강요 ,그리고 타종교와의 관계에 대한 분석.” 「개혁논총」 제16권, (2010): 197-228.
이은선. “에큐메니칼 운동의 미래와 한국적 聖·性·誠의 여성신학-2013 WCC 부산총회를 전망하며.” 「박상증 목사 평전출판기념회 및 기념심포지엄」 (2010년 6월 8일).
장성민. “다원주의 시대의 기독교윤리 방향.” 「개혁논총」 제12권, (2009): 151-174.
조종남 편. 『로잔 세계 복음화 운동의 역사와 정신』. 서울: IVP, 1990.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신앙과 직제위원회 편. 『신앙과 직제와 삶과 봉사의 합류: 1990년대 이후 ‘신앙과 직제’와 ‘삶과 봉사’의 공동 연구』. 이형기·송인설 공역, 서울: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 2009.
한국기독청년협의회편역. 『예수 그리스도 세상의 생명: 세교협 제6차 총회보고서』. 서울: 한국기독교육협의회, 1983.
한국일. “종교 다원주의에 대한 WCC의 신학적 입장.” 「목회와 신학」 통권 제250호 (2010년4월): 56-66.
Barth, Karl. Die Kirchliche Dogmatik I/1. 박순경 역, 『교회교의학: 하나님의 말씀에 관한 교의-전반부』.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2003.
______. Church Dogmatics. vol. 4, part 1. trans. G.W.Bromiley and T.F.Torrance, Edinburgh:T.&T. Clark, 1956.
Franz, Andreas. “Theses on Christian Self-Understanding and Religious Plurality 「International 140 개혁논총 ReviewofMission」 Vol.96 No380/381(January/April 2007).
Gassmann G&#252;nther ed. Documentary History of Faith And Order 1963-1993. 이형기 역, 『에큐메니칼 신학의 발전사(II) :신앙과 직제 문서사 1963-1993』.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8.
Hick, John. “General Introduction: Christology in an Age of Religious Pluralism.” Journal of Theology for SouthernAfrica,No 35,(Je. 1981).
Hoekstra, Harvey T.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and the Demise of Evangelism.Wheaton, Illinois: Tyndale House Publishers Inc., 1979.
MacFalrland, CharlesS. Steps Toward the World Council. New York: FlemingRevell, 1938.
Mouw, Richard. Uncommon Decency. Downers Grove: InterVarsity Press, 1992.
Raiser, Konrad. “Opening Space for a Culture of Dialogue and Solidarity: The Missionary Objectives of the WCC in an Age of Globalization and Religious Plurality.” 「International Review of Mission」 Vol. 88. No 350 (Jl 1999).
Van Elderen, Marlin. And So Set Up Signs...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First 40 Years. 이형기 역, 『세계교회협의회 40년사』,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3.
Vischer, Lukas ed. A Documentary History of The Faith And Order Movement 1927-1963. 이형기 역, 『에큐메니칼 신학의 발전사(1): 신앙과 직제 운동사에 나타난 문서들 1927-1963』,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8.
Visser ’T Hooft, W. A. The Genesis and Formation of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이형기 역, 『세계교회협의회 기원과 형성』,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3.
______. Has the Ecumenical Movement a Future? Atlanta: JohnKnox Press, 1974.
______. ed. New Delhi Report: The Thrid Assembly of the World Council of Churches 1961. New York: Association Press, 1962.
______. “Pluralism-Temptation and Opportunity.” The Ecumenical Review, Vol 18. No 2 (April 1966),
W.C.C. “religious plurality and christian self-understanding.” http://www.oikoumene.org/en/resources/documents/wcc-commissions/faith-and-order-commission/ix-other-study-processes/religious-plurality-and-christian-self-understanding.html.
______. “Baar Statement.” http://www.moravians.org/NCC&WCC/Baar_WCC_Article. html
W.C.C. Geneva ed. The Section Reports of the W.C.C.: From the first to the Seventh. 이형기 역, 『세계교회협의회 역대 총회 종합보고서』,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1993.
Williams, Rowan. “Christian Identity and Religious Plurality.” 「The Ecumenical Review」 Vol. 58 No.1.(January/April 2006)

글쓴이 프로필
글쓴이 : 권문상 목사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원대학교, 조직신학)

정확한 진단과 올바른 대안을 찾아서
W.C.C.의 사회구원적 기독론에 대한 비판적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