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예수교장로회연합회 교회동역자협회  

라이프

 
작성일 : 14-12-28 18:49  기사 출력하기 글쓴이에게 메일보내기
 

갓난 아기 키우기 (2)


지난 호에 이어서 초보 엄마들이 자칫 소홀하기 쉬운 육아에 대해 정리해 본다. 어떻게 보면 무척 단순하고 쉬운 예로부터 우리 조상들이 그렇게 하여온 방법들이다. 애꿎은 아기만 이 병원, 저 병원으로 데리고 다니면서 고생시키는 안타까운 일이 일어나지 않기를 바란다.

3. 생후 201일부터 300일-아기를 기어 다니게 하고 앉히기도 한다
이 기간은 아기의 등뼈가 단단해지는 때이다. 등뼈는 정기의 통로라고 해서 인체의 가장 중심이 되는 축이다. 그러므로 소중한 자식의 건강한 일생을 위해서는 이 기간을 잘 보내어서 등뼈를 튼튼하게 하고 똑바르게 해주어야 한다. 문제는 젊은 엄마들이 자신의 편리를 위해 아기를 보행기에 앉히거나, 아기의 발육을 빠르게 한다면서 너무 이른 시기, 즉 생후 200일 이전에 아기를 앉히려 한다는 것이다. 너무 빠른 시일에 아기를 앉히면 아기의 척추뼈가 휘거나 주저앉아서 심각한 상황이 될 수 있다. 그리고 간혹 기어 다닐 시기가 지났는데도 가지 못하는 아기를 볼 수 있다. 이것도 가능하면 빨리 한약을 써서 등뼈를 튼튼하게 해주어야 한다. 귀중한 아기의 척추가 튼튼해 질 수 있도록 초보 엄마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때이다.

4. 생후 10개월 경과 전-아기에게 밥을 먹여서는 안 된다
아기는 생후 10개월이 지난 후에 밥을 먹이는 것이 가장 좋다. 10개월이 경과되기 이전에는 위(胃)의 형태는 있으나 밥알을 소화시킬 수 있는 위기(胃氣)의 조성이 덜 되어 있다. 그러므로 아기에게 암죽이나 소화시키기 좋은 상태의 음식을 먹여야 한다. 만약 10개월 이전에 아기에게 밥을 먹이면 아기가 금방 보채고 고열이 나거나 토하며 밤에 잠도 자지 않고 괴로워하게 된다. 심한 경우에는 경기를 하는 아기도 있다. 특히 손주가 예쁘다고 할아버지, 할머니가 아기에게 밥알을 그대로 먹이는 경우가 많은 데 이것은 큰일 날 일이다. 밥을 주는 것이 아니라 아기에게 병을 주는 것과 같은 것이다. 너무 이른 것이 늦은 것만 못할 경우가 바로 아기에게 밥을 먹이는 시기이다. 아기에게 생후 10개월이 되기 전에는 절대 밥을 먹여서는 안 된다.
5. 11~12개월째-아기에게 밥을 씹어서 먹여야 한다
옛날 어머니들은 아기들에게 밥을 줄 때 꼭 자신이 씹어서 아기의 입에 넣어주셨다. 그렇지만 요새 엄마들은 비위생적이라고 생각하여 입으로 밥을 씹어 자식의 입에 넣지 않는다. 그러나 밥을 씹어 아기의 입에 넣어주는 것은 비위생적인 것이 아니라 매우 과학적인 육아 방법이다. 밥을 씹어서 먹이는 것은 아기에게 밥을 먹이기 위한 일종의 훈련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침은 엄마들이 생각하는 것처럼 비위생적인 것이 아니라 진액이며, 소화액이다. 밥을 엄마가 꼭꼭 씹어 넣어주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아이는 자연스럽게 밥과 친해질 수 있다. 어떤 아이들은 초등학교에 들어갈 때까지도 씹어 먹는 것을 싫어하며, 마시는 것만을 좋아하게 된다. 엄마의 침은 더러운 것이 아니라 아이를 튼튼하게 키울 수 있는 진액이며, 삶의 지혜인 것이다.

6. 13개월 이후-밥을 먹여도 된다
아기가 13개월이 지난 이제부터는 밥을 먹여도 된다. 아기의 위장기능이 밥알을 소화시킬 수 있는 능력이 생기므로 이제부터는 마음 놓고 밥을 먹여도 좋다. 그러나 명심해야 할 것이 또 하나 있다. 바로 ‘조반석죽’의 지혜이다. 아침밥은 임금님처럼 잘 먹여야 하고, 점심은 왕자처럼, 저녁은 거지처럼 조금 적게 먹여야 한다.

7. 한 달에 한 번씩 아프면서 자란다
대개 아이가 태어난 후 32일 만에 한 번씩 변하는데 이때는 열이 나는 것이 마치 감기 같기도 하고, 혹은 토하기도 하고, 혹은 설사를 하기도 하며, 무엇에 놀란 것 같기도 하다. 이것은 장부(臟腑)와 의지(意智)가 커가는 과정에 해당하는 것으로, ‘제구실’이라 부르며, 한 번씩 앓고 나면 전에 없던 예쁜 짓을 한다. ‘제구실’은 생리적인 열로써, 쇠를 용광로에 넣었다 꺼내야 단단해지듯이 적당한 열도(熱度)에서라야 장기가 건강하게 형성되며 열이 시원치 않으면 장기가 제대로 굳어지지 못한다. 이런 경우, 아이가 열이 난다고 무조건 해열제를 써버리면 그야말로 장기의 형성 기능을 억눌러버리는 결과가 된다. 당연히 걸어야 할 시기가 지났는데도 다리에 힘이 없어서 걷지를 못한다거나, 출생 당시 정상이던 눈이 사시나 심한 근시, 원시가 되어버리는 것도 ‘제구실’의 열을 강제로 꺼버렸기 때문이다. 아이가 열이 날 때 감기와 ‘제구실’을 구별할 줄 알아야 한다. 감기는 귀가 뜨거우며, ‘제구실’은 몸에 전체적으로 열이 있으면서도 귀와 엉덩이가 찬 것이 특징이다.

글쓴이 프로필
글쓴이 : 김희철 박사 (한의학박사, 파동한의원)

발열에도 여러 가지가 있다
갓난 아기 키우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