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예수교장로회연합회 교회동역자협회  

뉴스

 
작성일 : 10-07-29 16:06  기사 출력하기 글쓴이에게 메일보내기
 

종교개혁 역사탐사기(3)


종교개혁 진원지의 기운을 느낄 수 있는 제네바
칼빈 종교개혁의 진원지 제네바 대학에서 오히려 구라파교회의 황혼을 볼 수 있어
banner

׹ 湮 ģ Ž ڵ .
banner

׹ ٽƼ ȿ ִ Į .
banner

Į ׽źƮȸ ǿȸ.

5월 12일(수)

  로마에서 스위스로 가기위해 밀라노를 거쳐가야 한다. 밀라노로 가는 길목에 피렌체 도시를 들렀다. 영어로 말하면 플로렌스(Florence)로서 르네상스의 꽃을 활짝 피운 도시이다. 15세기 초부터 메디치가(家)는 시정에서 권력을 장악했고 그 후 확립한 독재체제는 고대 예술을 적극적으로 유입시켜 고대문화의 부흥을 꾀했다. 그 결과 피렌체는 이탈리아 르네상스 문화의 중심으로서 그 황금시대를 맞이하게 되었다.  피렌체를 떠나 저녁 7시 45분에 밀라노에 도착했다.

밀라노 대성당 앞에서

  밀라노 대성당으로 인도되었다. 두오모 대성당이라고도 한다. 두오모(Duomo)라는 뜻은 주교가 미사를 집정하는 도시의 중앙 성당이라는 뜻이다. 이 건물 역시 입이 딱 벌어질 정도로 거대한 건물이었다. 높이 157m 너비가 92m에 이르는 세계에서 가장 거대한 고딕양식의 성당이다.

  이 성당은 성당외곽에 있는 엄청난 수의 소첨탑마다 그들이 말하는 “성인들”을 조각해 얹어 놓았다. 구역질이 날 정도로 조잡스럽고 비신앙적이었다. 이는 성 베드로 성당을 볼 때와 유사한 느낌이었다. 진리가 왜곡되면 얼마나 인생은 무지막지할수 있으며 그로 말미암아 엄청난 고통을 받게 되는지를 실감나게 보여주고 있었다.

  참으로 인간 문명의 역사는 건축의 역사라고 볼 수 있다. 이는 진리의 반석위에 세워지는 거룩한 건축인가, 아니면 거짓과 허구위에 세워지는 허탄한 건축의 역사인가로 갈라진다. 예수님 말씀대로 말씀의 반석위에 짓는 집과 말씀을 따르지 않는 어리석은 사람이 짓는 모래위에 지은 집의 대비이다.

  전자는 신령한 하나님의 나라로서 그것은 진리의 영이신 성령 하나님의 기획과 설계에 따른 것이다. 이것이야 말로 영원하며 복된 신령한 건축이다. 그러나 후자에 해당하는 성베드로 성당과 밀라노 대성당같은 건축은 인간의 권력과 거짓이 결탁하여 지어놓은 것이다. 그 외형적인 웅장함과 현란함에도 불구하고 신적 영광을 탈취하려는 허망한 인간 타락의 극치를 보여주고 있었다. 으리으리한 거대한 대리석 건물 성당 안에 인간의 영혼은 유린되었고 진정한 진리의 자유함이 없었다.

5월 13일 목요일

  밀라노에서 아침에 출발하여 알프스 산맥의 몽블랑 산을 보면서 버스로 여러 시간을 달렸다. 가는 길에 알프스 산의 웅장함과 아름다움을 바라보면서 탐사단원들은 모두 “주 하나님 지으신 모든 세계 내 마음속에 그리워 볼 때” 라는 찬양을 부르며 긴 버스 여행길을 달렸다. 드디어 유럽 프로테스탄티즘의 본산지 스위스로 입성한 시각이 저녁 6시 15분, 제네바 근처 어느 숙소에  도착했다.
 
5월 14일 (금)

스위스 제네바에서

  오전 9시경 호텔에서 출발하여 10시 30분경 제네바 도시로 입성하였다. 드디어 유럽 종교개혁의 본산지, 칼빈의 도시 제네바에 도착한 것이다. 제네바시는 론강(江)으로 양분되어 있었고, 큰 분수의 물줄기가 뿜어되는 조용한 도시였다.

  제네바 시는 비록 규모가 큰 도시는 아니지만 각종 국제기관들이 모여있는 국제도시였다. 탐사단이 먼저 인도 된 곳은 칼빈이 설교했던 곳으로 알려진 장소였다. 푸른 잔디가 깔려있는 경사진 곳이었다.

  잠시 그곳에서 칼빈의 체취를 느낀 후 곧바로 칼빈의 무덤으로 알려진 장소로 향했다. 칼빈의 무덤으로 알려진 장소는 시내 공동 묘지였다. 칼빈의 묘지에는 조그만 초라한 묘시석이 놓여져 있을 뿐 이었다. 아! 이 얼마나 대조를 이루고 있는가. 죽은 교황의 시신들을 모아둔 거대한 성베드로 성당과는 달리 칼빈은 초라한 묘비석으로만 남아 있었다. 오직 하나님의 영광만을 부르짖었던 칼빈의 하나님 영광중심사상을 초라한 칼빈의 묘지에서 역설적으로 읽을 수 있었다.

  예수님이 가장 칭찬해 마지않았던 세례요한은 다음과 같은 말을 통해 하나님의 영광을 부르짖었다. “그는 흥하여야 하고 나는 쇠하여야 하리라” 이처럼 세례요한-바울-칼빈으로 이어져 내려오는 “오직 하나님의 영광사상”은 500년 전 성경의 권위를 드높이고자 했던 제네바에서 불붙었고, 오늘날 우리에게 더욱 깊고도 새로운 의미로 불붙기를 바라는 것이다.

  칼빈이 사역한 교회당에서

 우리는 다시 칼빈이 사역한 교회당을 방문하였다. 칼빈이 베자와 함께 사역한 교회당은 제법 큰 건물이었다. 이전 카톨릭 성당으로 사용되던 곳을 개조하여 칼빈이 복음을 25년간 전파한 것이다. 탐사팀은 그 교회당 안에서 오직 하나님의 주권을 부르짖으며 성경에서 하나님의 영광을 치열하게 확인하고자 했던 칼빈의 치열했던  모습을 그려볼 수 있었다.

 그 곳에서 우리는 잠시 하나님의 말씀을 나누면서 칼빈 사역의 의의를 되새기는 시간을 가졌다. 박용기 목사님께서 딤후 3:13~4: 2절의 말씀을 전해주셨다. “악한 사람들과 속이는 자들은 더욱 악하여져서 속이기도 하고 속기도 하나니 너는 배우고 확신한 일, 즉 성경을 잘 배워가며, 때를 얻든지 못 얻든지 말씀을 전파하라”는 바울의 절박한 유언과도 같은 메시지를 상고했다.

  박목사님께서는 설교를 통해 성경 전체의 진리를 구조적으로 확인하는 일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역설했다. 칼빈은 그 시대로서는 놀라운 성경의 진리를 전파했으나 카톨릭 신학과의 변증적인 싸움에 전력을 투구한 나머지 차분히 성경 전체를 구조적으로 이해하는데는 역부족이었다. 이제 우리들에게 던져진 과제는 바로 성경전체를 통해 하나님 살아계심의 확증이다는 것이 설교의 요지였다. 

  탐사팀은 지난 며칠간의 탐사를 통해 이런 중차대한 시대적 과제를 깊이 체득할수 있었다. 성경의 진리를 전체적으로 잘 배우지 못하면 얼마나 어둠의 권세에 휘둘리며 억압과 고통의 역사가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제네바 대학에서

  탐사팀은 제네바 대학 교수들과의 신학대담이 계획되어 있었던 제네바 대학을 향했다. 유럽 종교개혁의 진원지였던 유서 깊은 곳이었다. 제네바 대학은 1559년 칼빈이 세운 제네바 아카데미로부터 시작된 곳이었다. 칼빈은 그 기관을 세운 후 5년만에 하나님의 품으로 돌아갔다. 그렇다면 수많은 종교개혁의 인재들이 양성되었던 제네바 아카데미가 그의 마지막 인생의 불꽃을 태웠던 장소라고 볼수 있다.

  신학대담은 제네바 대학 신학과 학장이 먼저 간단한 대학소개를 거친 후 시작되었다. 미리 보낸 질문지를 대답하는 방식으로 대담은 이루어졌다. 성경 진리가 아니고서도 하나님을 알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한 질문, 하나님의 절대주권과 인간의 자유의지의 관계에 대한 칼빈의 이해의 정당성의 문제, 서구 교회쇠락의 이유와 신학적 고민은 무엇인지 등이 집중적으로 거론되고 대담은 뜨거워져 갔다.

  대담자로 나온 던 제네바 대학의 교수는 칼빈 전공이면서 기독교윤리학 교수 였다. 그의 진지한 설명에도 불구하고 계속되는 질문에 의해 주어진 시간은 순식간에 흘러갔다. 토론이 열이 띠게 되자 학장은 별도의 대담시간을 연장하기로 결정했다. 연장된 대담시간에 서구교회 쇠퇴의 원인에 대한 설명이 있었다. 서구교회는 종교개혁이후 갈등의 역사였고 피를 많이 뿌린 역사였다는 것이다. 그런 갈등을 봉합하려는 방편으로서 이성의 역할을 중시한 나머지 신앙을 잃어버리게 되었다는 것이다. 교수의 표현대로 말하자면 이제는 아시아에서 더욱 성령의 역사가 강력하는 것이다.

  이런 교수의 말속에 서구교회의 쇠락의 서글픔을 읽을 수 있었다. 교회의 갈등해결을 위해 이성의 권위를 내세운 뼈아픈 실수, 그리고 성경의 권위를 주장하되 부분적인 교리를 절대화시키는 억지들이 결국 이성적인 반발을 낳고 결국 자유주의신학의 발호를 낳는 간접적인 원인이 되고 말았다는 것이다. 

  탐사팀은 제네바 대학에서의 신학대담에서 많은 것을 깨닫고 느낄수 있었다. 참으로 하나님은 촛대를 아시아로 옮기고 있다는 사실, 성경 계시진리를 전체적으로 아는 것이 얼마나 중요하다는 사실, 칼빈은 역사적 의의를 가지되 그를 넘어서는 신학의 출현은 필연적이라는 사실이다.         

 정리

  제네바로 상징되는 스위스는 칼빈의 신앙적 유산은 문화적 차원에서는 아직도 숨쉬고 있었다. 스위스 사람들은 대체로 근면하고 검소할뿐 아니라 투철한 직업정신을 가지고 일에 임한다는 것이다. 역시 진리는 그 백성들의 생각과 문화를 결정짓는 힘이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칼빈 종교개혁의 진원지 제네바 대학은 이제 바르트신학과 종교다원주의의 도전 앞에 무릎꿇고 말았다. 구라파교회의 황혼을 볼 수 있었다. 이제 대안은 어디에 있는가? 하나님의 촛대는 이미 아시아로 옮겨졌다. 탐사내내 하나님이 우리를 향하신 깊고 깊은 뜻을 생각하게 되었다.

김규욱 목사

종교개혁 역사 유적지 탐사기<4>
종교개혁 역사 유적지 탐사기<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