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예수교장로회연합회 교회동역자협회  

신학

 
작성일 : 14-09-01 20:59  기사 출력하기 글쓴이에게 메일보내기
 

성경신학적 관점에서 본 기독교강요 이해 3권


교황주의자들의 회개관
교황주의자들의 회개관을 살펴보자. 교황주의자들은 그리스도를 믿기 이전의 죄는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용서 되지만 신자가 된 이후의 범죄에 대한 속죄는 교황과 신부를 통한 통회와 그에 따른 응분의 대가를 치러야 된다고 한다. 이에 대해 칼빈은 어떤 인간(교황)도 인간의 죄를 용서할 수 있는 권한은 없으며, 교황이나 신부 개인에게 자기의 죄를 고백한다고 해서 진정한 회개가 성립되는 것은 아니라고 반박한다. 그러면서도 인간의 죄는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진정한 용서를 받은 것이지만, 결국 자범죄(自犯罪) 부분에서는 날마다 하나님과 사람 앞에 회개의 속죄를 구해야 된다고 말한다.
필자는 교황주의자들의 회개관도 비성경적이며 무의미한 것으로 판단하지만, 칼빈의 회개관 역시 문제가 있다고 본다. 교황주의자들은 칼빈의 말대로 자신들에게 속죄권한이 부여된 줄로 인식하고 있지만, 성경은 인간에게 속죄의 권한이 있다고 말하지 않는다. 그리스도의 속죄사역은 영원한 속죄의 효능을 지니고 있다. 영원한 효능이란 과거, 현재, 미래의 모든 죄를 용서받았다는 것을 뜻한다. 기독교의 속죄관은 그리스도의 사역을 통한 죄와 죄책으로부터의 무조건적인 해방이며, 그 속죄는 번복됨이 없고, 한 번 용서 받은 죄인은 어느 누구도 정죄할 수 없다는 것이다.
여기서 생각해 봐야할 것은 하나님의 거룩한 성도로 부르심을 입었으면 단시간에 거룩한 자로 변모하든지, 아니면 죄의 속성이나 흔적조차도 없애 주셨다면 죄의 문제로부터 완전히 자유로울 수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제는 모든 성도들, 아니 사도들조차도 이 문제에서 자유롭지 못한데 있다. 특히 바울은 “오호라 나는 곤고한 사람이로다 이 사망의 몸에서 누가 나를 건져내랴”(롬 7:24)라는 고백을 통해서 의인이라 칭함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죄인 된 모습을 통탄한다. 바울은 이에 대해 명쾌한 해답을 제시한다. 자신에게 내재한 죄인의 속성을 발견하게 되는 만큼 죄인을 의롭다 인정해 주신 하나님의 의(義)에 대한 은혜를 깨닫고 찬송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바울은 자신의 어리석음과 죄인의 속성을 통해 도리어 하나님의 은혜의 영광을 발견함에 대해서 감사한다고 고백하게 되는 것이다.

성경신학적 관점에서 본 회개
여기서 회개에 대한 확고한 신학적인 정립을 위해서 이를 언약성취사적 관점에서 정리해 보도록 한다. 먼저 회개와 관련된 신학적인 쟁점 가운데서, 죄 용서를 받기 위한 조건으로서의 회개인가, 속죄와 무관하다면 구원과는 어떤 관련이 있는가, 또 회심은 단번의 돌이킴으로 성립되는 것인가 아니면 반복적으로 지속해야 하는가라는 점이다.
우선 회심(回心)과 회개(悔改)의 용어개념을 신학적인 의미에서 규정해 놓고 논의를 개진해 본다. 회심은 구원의 서정과 관련된 단어로서 불신자가 하나님을 믿음으로 그리스도인이 되는 개종(改宗)의 성격을 뜻하며, 단회적인 사건으로서 개종적인 성격을 갖고 있다. 반면에 회개는 개종한 성도가 생활하면서 행하게 되는 자기반성 차원의 신앙적인 고백을 가리키며, 또한 성도의 일상을 통해서 드러난 어리석음을 하나님 앞에서 생각하며 반성함으로서 하나님의 온전하신 뜻을 분별하는 영적인 예배의 요소로 이해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회심에 대한 이해를 성경신학적인 관점에서 정리해 본다.
회심의 의미는 탕자가 아버지의 집을 떠났다가 뉘우치고 돌아오듯이, 창세전 그리스도 안에서 선택받은 하나님의 백성들이 세상에서 우상을 섬기며 살다가 하나님께 뉘우치고 돌아오는 것을 뜻하는 것으로서 일생에 한번 경험하는 개종(改宗)적인 구원 사건이다. 하나님의 아들이 된 자들에게는 개종적인 의미로서의 회심은 반복되는 성질의 것이 아니다. 단지 그들이 자신의 행동과 삶을 반성하고 뉘우치는 고백적인 회개는 죽는 날까지 지속되고 반복되어야 하겠지만, 한번 하나님의 자녀가 된 자들에게 다시 아들로 인정되는 회심의 과정은 번복되거나 중복될 수 없는 것이다.
이미 하나님께 부르심을 받아 아들로 인정된 자들은 비록 어리석고 미숙하여 탕자와 같이 집을 떠나 방황한다 할지라도 그 아들은 영원히 하나님의 자녀인 것이다. 혹자들은 히브리서에 있는 “한 번 빛을 받고 하늘의 은사를 맛보고 성령에 참여한바 되고 하나님의 선한 말씀과 내세의 능력을 맛보고도 타락한 자들은 다시 새롭게 하여 회개하게 할 수 없나니 이는 그들이 하나님의 아들을 다시 십자가에 못 박아 드러내 놓고 욕되게 함이라”(히 6:4~6)는 말씀을 근거로 해서, 예수를 믿다가 타락하면 구원에 이를 수 없다고 단언한다. 하지만 그 내용은 이스라엘 백성들이 언약대로 오신 그리스도를 십자가에 못 박아 죽게한 사건을 가리켜 증거한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유대인들을 애굽에서 해방시켰으며, 광야에서 인도하여 가나안 땅을 정복하게 하심으로서 그림자적인 구약의 복음을 받았으나 참 실체이신 그리스도를 부정했기 때문에 다시 새롭게 할 수 없다는 뜻이다.
칼빈도 이 부분에 대해서는 사도들의 글을 인용하면서 “배도에는 변명이 합당치 않으며 따라서 하나님께서 그처럼 불경하게 자신을 능멸하는 자들을 가차 없이 맹렬하게 벌하신다는 것이 전혀 이상한 일이 아니라는 것”에 전적으로 동의하고 있다. 그러므로 진정한 회심은 단회적인 개종을 의미하며 영원히 유효한 것이다. 그러므로 회심의 성경신학적 정의는 하나님께서 창세전 그리스도 안에서 선택한 자들을 부르셔서 거듭나게 하사 불신적인 이방인의 삶으로부터 하나님께로 돌아서게 하신 것을 뜻하며, 회개는 낱낱이 자기의 죄를 고백하거나 용서를 구하는 통회의 방법이라기보다는 날마다 하나님의 은총을 깨달으며 자신의 어리석음을 뉘우치고 반성하는 삶 자체를 의미한다.
하나님께로 돌이킨다는 회심의 의미는 아담의 타락으로 죽었던 영혼이 거듭나고 중생한 것을 뜻하며, 어둠에서 빛으로 방향을 전환하듯이 옛 사람과 옛 구습을 벗어버리고, 저주받은 세상에서 신령한 하늘의 것을 추구하는 가치관의 변환을 의미한다. 첫 아담은 살아있는 생령체로서 존재했으며, 하나님께로부터 신령한 삼대언약(창 1:28)을 복으로 받았으며, 하나님이 보시기에 선한 존재였다. 그러나 첫 아담의 타락으로 말미암아 영적으로 사망하여, 하나님께서 허락하신 삼대언약의 축복을 상실한 상태로, 악인의 모략을 추구하며 죄인의 길에 접어들게 된 것이다. 아담의 타락을 기점으로 아담과 그 후대의 인류는 하나님의 진노의 심판을 모면할 수 없었으나, 아담의 타락보다 선행된 하나님의 축복언약(창 1:28) 때문에 인간의 타락과 관계없이 하나님의 작정대로 그리스도를 통해서 구원이 성취된 것이다.이와같이 회심은 일시적인 인간의 변심도 아니고, 즉흥적인 하나님의 섭리도 아니다. 회심은 철저히 하나님의 작정(예정)에 근거해서 그리스도 안에서 선택받은 하나님의 자녀들을 향해서, 그들을 부르실 시점에 따라, 성령의 역사로 말미암아 성취된 하나님의 치밀한 의도 사역이다.

글쓴이 프로필
글쓴이 :

공룡의 멸종에 대한 성경적 고찰
진리 전도자로만 죽든 살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