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예수교장로회연합회 교회동역자협회  

학술

 
작성일 : 22-05-09 21:44  기사 출력하기 글쓴이에게 메일보내기
 

변화의 목적


子曰 齊一變 至於魯 魯一變 至於道
자왈 제일변 지어노 노일변 지어도


『논어』 「옹야」장의 계속이다. 그 해석은 이렇다.

“공자가 말했다. 제나라가 한 번 변화하면 노나라에 이르고, 노나라가 한 번 변화하면 (선왕의 법) 도에 이를 것이다.”

본문의 배경은 공자의 시대다. 그 당시 제나라의 풍속은 공리를 중시하고 과장과 속임을 좋아했다(齊俗急功利 喜夸詐. 제속급공리 희과사). 그것은 제나라의 환공이 패권의 정치를 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노나라는 예절과 가르침(禮敎, 예교)을 중시하고 신의를 숭상하였다. 그래서 노나라에는 주공의 법도가 조금은 남아 있었다. 다만 어진 사람이 다시 태어나지 않았고 그로 인해 선정의 바른 정치가 그치게 되면서(人亡政息, 인망정식) 선왕의 법도가 폐지되거나 실추되는 일이 없지 않았다. 이를 통하여 공자는 두 나라의 정치에 좋고 나쁜 풍속이 있어서 변하여 도에 이르는 데 어려움과 쉬움이 있음을 말하려 한 것이다.
공자의 때에 제나라는 노나라보다 강했다. 국세를 볼 때 누구라도 제나라가 노나라보다 낫다고 말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제나라는 패권(무력으로 행사하여 복종시키는 정치)을 행사하여 주변국들을 복속시켰고 끝없는 위협으로 강함을 유지하였다. 이러한 영향이 제나라의 풍속이 되어 간략함을 따르고 공리를 숭상하는 정치가 펼침으로써 주공의 선정의 법도가 변해서 없어져 버리고 말았던 것이다. 이것이 주나라가 반드시 변해야 하는 이유였다. 공자가 주장한 변화의 요지는 패권 대신에 인과 예를 중시하는 나라가 되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반면에 노나라는 주공의 법제가 남아 있었다. 그래서 공자는 노나라가 변화를 잘 해서 인과 예를 중시하고 실천하는 선정의 정치가 완숙하게 전개되기를 기대한 것이다.
변(變)은 주역에서는 (태)양의 나아감으로 해석된다. 양의 나아감은 음과 함께 서로 변하여 어우러지면서 태양이 만물을 낳아 기르듯이 만물의 생성을 주도한다. 그와 같이 나라의 변화도 뭇 백성을 기르는 결과를 가져와야 변화라 할 수 있다. 올바른 변화가 사람이나 국가에 필요한 이유다.
패권, 곧 강압적으로 다른 사람이나 나라를 복종하게 하여 소유하는 행위는 없어져야 한다. 아니 반드시 고쳐져서 인을 행하고 예교를 숭상하는 사람이나 나라로 변해야 한다. 공자는 실제로 제나라의 국정에 참여하여 패권을 고치려 하였다. 그는 자신이 스스로 그렇게 할 수 있을 것으로 믿었다. 그렇지 않았더라면 제나라의 변화나 노나라의 변화를 말할 자격이 없다. 하지만 그에게 그런 기회가 주어지지 않았다. 반면에 공자는 노나라에서 예교를 담당하는 관리로 지냈다. 그가 이 일에 착수하고서 일 년이 못되어 모든 노나라의 예교가 법도에 맞게 변하게 되었다.
정자(程子)에 따르면 공자만이 제나라든 노나라든 기존의 법제를 올바르게 변하게 해서 선왕의 법도를 실천할 수 있는 사람으로 생각하였다. 정자의 주장을 통해서 생각해 볼 수 있는 것은 모든 변화에는 그것을 주도할 인물과 때가 동시에 필요하다는 사실일 것이다.
이상에서 변화에는 선왕의 법도의 회복과 같은 목적이나 방향이 있어야 하고, 이를 실천해 낼 수 있는 인물이 있어야 하며, 양과 음의 나아감처럼 때가 알맞아야 함을 알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변화에는 사람마다 나라마다 단계가 있다는 것이다. 제나라 같은 패권국이 변하면 예교를 숭상하는 나라로 변할 수 있다. 노나라 같은 경우는 선왕의 법도 곧 유교에서 말하는 인과 예의 정치 또는 왕도정치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그리스도인 역시 변(화)해야 한다. 그 변화의 출발은 하나님의 형상을 잃어버린 아담과 같은 존재로부터 하나님의 은혜로 말미암는 새로운 영과 새로운 생명을 덧입는 존재로 바뀌는 것이다. 아담의 타락 후로 모든 인생은 ‘본질 상 진노의 자녀’(엡 2:3)로 바뀌게 되었다. 이제 사람은 하나님의 형상을 닮은 존재와는 전혀 상관이 없는 본질적으로 하나님의 진노를 피할 수 없는 죽음의 존재로 변하고 말았다. 이 존재로부터 변하지 않으면 사람에게 영생의 길은 없다. 그의 변화는 오직 하나님의 거져 주시는 은혜로 말미암는다. 사람은 하나님께서 그리스도를 우리의 구세주로 주신 그 은혜를 받아들여야만 변하여 새로운 영과 새로운 생명을 받아 새 사람이 될 수 있다. 새로운 영은 하나님의 의를 숭상하고 하늘나라의 일들을 생각하게 한다. 새로운 생명은 영원히 죽지 않을 영생이다. 이 변화가 있은 후에 계속 이어지는 하나님의 은혜로 사람은 그리스도의 믿음의 분량으로까지 자라가는 변화를 이루어가야 한다. 이 변화는 그때마다 성령의 찾아오심과 역사하심에 함께 해야 한다. 마침내 그리스도인이 성령 안에 살며 그리스도의 심장으로 그리스도의 다스리심이 펼쳐지도록 하고 그 다스림 안에서 평안을 누리는 것이 변화의 목적이자 방향이다. 선한 그리스도인이여! 어서 그리로 달려가자.

글쓴이 프로필
글쓴이 : 문태순 (교육학 박사 백석대 전임교수)

마흔셋. 세속화와 유럽 교회의 몰락, 다시 성경권위의 부흥으로
니체의 허무주의: 자기 눈을 찌른 외디푸스 신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