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예수교장로회연합회 교회동역자협회  

신학

 
작성일 : 14-06-29 19:39  기사 출력하기 글쓴이에게 메일보내기
 

성경신학적 관점에서 본 기독교강요 이해 3권


제3장 믿음으로 말미암는
        중생과 회개

복음의 총체를 회개와 죄 사함에 있는 것으로 보는데(눅 24:47; 행 5:31), 이는 그만한 이유가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 두 문제를 제외하고 믿음을 논한다면 그것은 메마르고 골자가 빠져서 거의 소용이 없게 되고 말 것이다. 자, 회개와 죄 사함은 -즉, 새로운 삶과 값없는 화목은-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우리에게 베풀어지는 것이요, 둘 다 믿음으로 말미암아 얻어지는 것이다. (중략) 여기서 논란의 여지가 없이 분명한 사실은 회개가 끊임없이 믿음의 뒤를 따를 뿐 아니라 믿음에서 난다는 점이다. (본문1)
하나님께 사사로이 죄를 고백하는 것은 절대로 빠뜨려서는 안 될 참된 회개의 필수적인 부분인 것이다. 우리의 죄들이 백일하에 드러날 때까지 그것들을 위선적으로 감추고 우리 스스로 둘러대는데도, 하나님께서 우리의 죄들을 용서하신다면 그것처럼 불합리한 일은 없을 것이 아니겠는가? 날마다 범하는 죄들을 고백하는 것뿐 아니라, 오래 전에 묻혀 버린 것 같은 더 위중한 과실들을 마음에 떠올려서 그것까지도 고백하는 것이 합당할 것이다.
하나님께서는 죄 사함을 제시하실 때에 보통 우리에게 회개를 요구하시며, 그리하여 그의 긍휼하심이 사람들로 하여금 회개하도록 만들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하시는 것이다. (중략) 그러나 여기서 주의해야 할 것은 이런 조건을 붙인 것은 우리의 회개가 죄를 용서함 받는 우리의 공로가 되기 때문이 아니다. 오히려 주께서 사람으로 하여금 회개케 하시기를 목적으로 삼으사 그들을 불쌍히 여기시기로 작정하셨으므로, 하나님의 은혜를 얻기 바라는 자들이 마땅히 목표로 두어야 할 것이 무엇인지를 이로써 보여 주시는 것이다. (본문2)

기독교에서 회개가 차지하는 비중은 막중하다. 이는, 모든 인간은 죄와 관련되어 있고, 죄는 용서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회개의 논리는 죄-용서(속죄)의 등식에 의해서 성립되기 때문에 죄인인 인간에게는 끝없는 과제가 된다.
칼빈은 회개의 성격과 방법에 대해서 로마 가톨릭주의자들을 공격하면서 자신의 회개관을 피력한다. 이에 대해 필자는 먼저 회심과 회개의 개념을 간략하게 구분하여 정리함으로써 논의의 혼선을 방지하고 신학적인 쟁점을 점검하고자 한다. 회심(回心)은 개종(改宗)적인 단회적 사건으로서, 거듭나고 중생한 영혼이 하나님께로 돌아오는 것을 뜻하는 것이며, 죽은 영혼이 하나님을 향해서 살아남으로서 영혼과 마음이 하나님께 매이는 것이다. 반면 회개(悔改)는 성화의 과정으로서 일평생 육체의 소욕을 벗는 순간까지 하나님 앞에서 자기를 발견하며 의롭다고 선언해 주신 은혜의 영광을 잊지 않고 기억하며 찬양하는 것이다. 여기에서 중요한 점은 회심은 이방종교나 이방인이 그리스도교나 그리스도인으로 돌이키는 개종의 사건이고, 회개는 그리스도인이 된 이후 신앙생활의 과정에서 죄인 된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거나 범죄한 과오를 뉘우치는 성화의 과정을 뜻한다. 후반부에서는 좀 더 치밀하게 정리하겠지만 우선 초입에서는 개괄적인 개념만 정리한 다음 칼빈의 논증을 살펴본다.

회개의 성질
첫 번째, 칼빈은 회개의 성질을 논의하는데 있어서 믿음을 선행적인 조건으로 설정하여 믿음에 의한 중생과 회개의 의미를 설명하고 있으며, 복음의 주제가 회개와 죄 사함에 있다고 주장한다.
본문1)에서 확인 되듯이 칼빈은 복음의 주제를 회개와 죄 용서로 설정하고 있으며, 믿음에 의한 회개를 강조하고 있다. 믿음에 의한 회개는 의롭게 되는 것이 인간의 행위로 말미암은 것이 아니다. 그리스도의 화목 제사를 통해서만 얻어지는 것이므로 그리스도를 믿음으로 속죄함을 얻고, 의롭다함을 받은 이후에야 진정한 회개가 가능하게 된다는 뜻이다. 하지만 칼빈이 복음의 주제를 회개와 죄 용서로 설정했다는 것은 믿음에 의한 전제적인 의미라 하더라도 전형적인 구속사신학이다. 구속사신학의 특징은 인간의 구원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기 때문에 신학의 출발을 인간의 죄로부터 시작해서 용서와 연관짓는 점이다.
칼빈은 회개는 용서의 전제조건임을 본문2)에서 밝힌다.  칼빈이 말하는 회개의 필수적인 과제는 인간이 저지른 모든 죄를 철저하게 고백하는 것이며, 하나님께서도 인간의 죄를 용서해 주시기 위해서는 반드시 회개의 단계를 요청하신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는 그리스도의 영원한 속죄사역의 효능은 인간의 회개 여부에 따라서 그 영향이 미치게 되고, 결국에는 죄 용서의 관건이 인간의 결단에 따라서 좌우되는 형국(形局)이 된다. 따라서 어떤 이유나 명분에서든지 회개가 속죄의 요건 된다는 견해는 맞지 않다.
칼빈의 회개(悔改)의 관점은 개종적인 회심(回心)의 범주 보다는 성도의 생활과 관련된 윤리적 행위에 비중을 두고 있다. 칼빈은 복음의 주제를 회개와 죄 용서라는 구속사적 범주에서 설명함으로써 인간의 죄에 대한 통회 자복 자체에 초점을 맞추게 되어, 결과적으로는 윤리적 생활을 강조하기에 이른다.
그러나 성경에서 말하는 복음의 주제는 인간의 죄에 대한 회개의 차원이 아니라 하나님의 존재를 확증시키려는 하나님의 의(義)이다. 하나님의 의는 “하나님 스스로 가지고 계시는 절대기준에 의한 판단에 따라 하나님 스스로가 결정하신 절대가치인 것이다.” 하나님의 절대가치는 창세전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세우신 작정대로 그리스도를 통해서 하나님의 나라인 교회를 세우는 것에 있다. 바울은 로마서 1장 17절에서 “복음에는 하나님의 의가 나타나서 믿음으로 믿음에 이르게 하나니 기록된바 오직 의인은 믿음으로 말미암아 살리라 함과 같으니”라는 말로써 하나님의 의에 대해서 언급하고 있다. 복음에 나타난 하나님의 의는 하나님의 작정대로 그리스도께서 오셔서 타락하여 죽은 죄인들을 구속하신 그리스도의 성취사역에 있다. 복음의 주제가 표면적으로는 그리스도의 사역을 통한 인간의 구속에 있지만, 근본적으로는 하나님의 작정을 성취하심으로서 ‘그리스도’이심을 계시하는데 있는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구약성경은 그리스도에 대한 언약이며, 신약성경은 그리스도 성취에 대한 증거내용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복음의 주제는 타락한 인간의 구원을 포괄하여 하나님의 뜻을 성취하신 ‘그리스도 증거’ 그 자체에 있는 것이다. 이러한 신학적 체계에 의한 논의라야, 죄와 용서 그리고 구속이라는 인간학적 범주를 탈피하게 되고 언약과 성취를 통한 그리스도 중심의 계시적 틀을 확립할 수 있게 된다.

글쓴이 프로필
글쓴이 :

초끈과 고차원 공간 그리고 기독교
성경의 완전성과 서구 지성의 파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