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예수교장로회연합회 교회동역자협회  

신학

 
작성일 : 24-01-16 17:51  기사 출력하기 글쓴이에게 메일보내기
 

종교란 무엇인가?


우리는 칼 바르트의 『교회교의학 I/2』, § 17의 제목을 “종교의 지양으로서의 하나님의 계시(Gottes Offenbarung als Aufhebung der Religion)”로 읽고 있다. 종교(宗敎), der Religion, religion, 라틴어 religio의 개념을 쉽게 파악하지 못한다. 우리는 먼저 종교 개념을 정확하게 규정해야 한다. 그러고 나서 바르트가 종교를 지양하는 것이 무엇인지 알 수 있다. 바르트가 종교를 지양하고 계시를 세우는 것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연구자들이 있다. 바르트는 종교와 계시를 대립시키는데, ‘종교와 계시가 대립되는가?’에 대해서 먼저 판단해야 한다.(Cuius regio, eius religio: 그 성(城)의 통치자, 그 성의 종교, 통치자의 종교가 그들의 종교), 아우크스부르크 평화협약(the Peace of Augsburg, 1555년).

religio는 라틴 사회에서 통용되는 어휘이다. 16세기까지 유럽 사회에서 religio는 기독교였다. 참고로 기독교라는 어휘는 없다. 복음과 교회로 사회적 질서가 형성된 구조를 기독교라고 한다. 기독교, Christianity라는 어휘는 적당하지 않다. Christendom(크리스텐덤), 기독교사회는 믿음과 문화가 결합된 세계이다. 그러한 세계에서 자연스럽게 사용한 어휘 religio를 기억해야 한다. 칼빈은 자기 저술을 Institutes of the Christian Religion이라고 했는데, 우리는 <기독교강요>라고 번역했다. 문자적으로 번역하며 <그리스도인 종교 시작>으로 번역할 수 있다.

바르트는 1927년에 <기독교교의학개론>(Die Christliche Dogmatik im Entwurf)을 출판했는데, 1932년에 <교회교의학 I/1>(Die Kirchliche Dogmatik)으로 전환했다. 바르트는 Christliche(기독교)에서 Kirchliche(교회)로 전환했다. 바르트는 이때 종교를 지양하는(als Aufhebung der Religion) 변이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

“바르트가 교의학의 이름을 기독교교의학에서 교회교의학으로 고친 이유는 교의학이 자유로운 학문이라기보다 오히려 교회라는 맥락 속에서만 그 가능성과 의미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는 <교회교의학>에서 <로마서 강해>와 <기독교교의학개론>에서 사용했던 중요한 요소들을 내용적으로나 형식적으로 완전히 청산하는 동시에, 실존적, 인간학적 방법과 객관주의 방법을 배격하여 하나님의 말씀을 신학적 인식의 표준과 출발점으로 하는 하나님 말씀과 신학을 수립하였다”(위거찬: 1998, 197-198). 필자는 바르트가 ‘기독교’란 어휘를 더 이상 사용하지 않으려는 것으로 보았다. 바르트에게 ‘기독교’는 지양되어야 할 개념인 것이다. 그렇다면 바르트는 기독교를 종교로 생각하고 있었던 것이다. 기독교는 종교인가? 종교가 아닌가?

자유주의 신학자들은 기독교 재편을 추구했다. 자유주의 신학자들은 기독교를 (하나님의) 사랑으로 재편시켰다. 그렇다면 자유주의 이전에 기독교는 무엇이었을까? 자유주의 이전에 기독교는 그리스도의 나라(Regnum Christi)였다. 교회의 목적은 머리이신 그리스도의 통치를 실현하는 것에 있었다. 하르낙(Adolf von Harnack, 1851-1930)은 『기독교의 본질』(Das Wesen des Christentums, 1900; Eng. trans. What is Christianity?)을 출판했다. 하르낙은 복음과 교리를 알맹이(kernel)와 껍질(husk)에 비유하면서 교리들을 제거함으로써 기독교의 본질인 복음을 찾아낼 수 있다고 믿었다. 교리가 없는 복음은 예수 그리스도와 관련된 새로운 존재 양식과 삶의 길을 제시하는 변혁적 사건으로 제언했다. 즉 기독교 믿음은 하나님의 사랑을 체험하고 그것을 전하는 것으로 구축시켰다. 포이어바흐(Ludwig Feuerbach, 1804-1872: 헤겔좌파)는 『기독교의 본질』(1841년)을 출판했다. 포이어바흐는 “신이 인간을 창조한 것이 아니라 인간이 자신의 형상대로 신을 창조했다”고 인식을 전환시켰다. 포이어바흐 이후로 “신학은 인간학”이 되었다(참고. 정재현, 『신학은 인간학이다』(왜관: 분도, 2003). 바르트의 후기 저술인 『하나님의 인간성』(The Humanity of God; Die Menschlichkeit Gottes, 1956년)에서 예수 그리스도의 인간성을 하나님의 인간성으로 유도했다.

“기독교는 없다” 그러나 “교회는 있다”는 바르트가 주장한 것이지만, 본래 예수께서는 기독교를 설립하지 않으셨다. 예수님은 피로 교회를 세우셨다. 바르트가 말하는 것처럼 현존하는 교회가 아니라, 하나님의 피로 산 교회이다. 교회의 영향력이 사회를 지배하게 되었을 때에 그 사회에서 국교로 교회의 하나님을 국교로 삼은 상태를 ‘기독교’라고 한다. 유럽 사회는 프랑스를 제외하고(프랑스 혁명 때에 국교 폐기, 국교를 폐기한 최초의 국가는 미국 - 1776년) 모두 국교가 있기 때문에 기독교가 있다고 보아야 한다. 2차 대전 이후 유럽 사회는 급속하게 세속화가 되면서 국교가 있지만 국교에 어떤 억압도 존재하지 않는 상태가 되었다. 국교를 폐기하려는 움직임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슬람 종교가 더 강력하게 활동한다는 보고가 들려오고 있다.

유럽 사회는 칼 마르크스(Karl Marx, 1818-1883: 헤겔 좌파)에 의해서 가장 심각하게 종교가 타격을 입었다(종교는 인민의 아편이다. Religion is the opium of the people). 아편은 사회에서 지양이 아니라 제거되어야 한다. 마르크스는 자기 명제를 확립했고, 공산주의에서는 종교가 제거 대상이었다. 마르크스가 비판한 종교는 당시 유럽 사회의 종교 기독교였다. 다만 공산주의가 세계화되면서 모든 종교들도 동일하게 적용되었다. 그러나 사회에서 종교를 통제하는 공동체는 북한뿐이고, 러시아, 중국 등 모든 국가는 종교를 통제할 수 없다. 그리고 이슬람 국가에서는 제정일치 수준으로 사회를 유지하고 있다.

유럽 사회에서 종교는 기독교였다. 교회가 섬기는 하나님이 종교의 대상이다. 믿음의 대상과 종교의 대상은 같다. 믿음의 대상이 신(神)인 것이 종교이고, 믿음의 대상이 신념이면 철학이다. 현대신학에서는 인간이 만들어낸 신까지 종교로 포함하고 있다. 그래서 현대신학에서 신학은 인간학이 된다. 바르트는 포이어바흐처럼 주장하지 않고 계시를 주장하지만, 계시가 인간의 내부에서 발생하여 인식할 때에 계시가 인식되기 때문에 결코 인간을 떠나지 않는다. 바르트는 종교를 지양하고 계시를 추구한다. 바르트가 지양하는 종교는 포이어바흐, 마르크스, 하르낙이 상상했던 종교와 동일한 수준일 것이다. 21세기 대한민국에서 생각하는 종교와 같지 않은 것은 분명하다.

우리는 바르트가 사용하는 종교에 대해서 좀 더 깊이 묵상하고 있다. 그것은 종교라는 어휘를 명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결코 단순하지 않기 때문이다. 이것은 서양에서도 그러는 것 같다. Benson Saler, “Religio and the Definition of Religion”, Cultural Anthropology, Vol. 2, No. 3(1987), 분명한 것은 바르트가 지양하는 종교는 바르트가 사용을 포기한 기독교(Christliche)일 확률은 너무나 높다. 바르트는 현존하는 교회를 말하면서, 현존하는 교회의 힘에 대해서 정확하게 말하지 않는다. 현존하는 교회를 있게 하는 능력은 무엇인가? 바르트는 하나님의 자유이고, 정통신학은 하나님의 능력, 선포되는 복음이다.

글쓴이 프로필
글쓴이 : 고경태 목사 (주님의교회 / 형람서원)
이메일 : ktyhbg@hanmail.net

열왕기부터 역대기까지
사람보다 높은 하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