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예수교장로회연합회 교회동역자협회  

오피니언

 
작성일 : 24-05-22 10:00  기사 출력하기 글쓴이에게 메일보내기
 

예루살렘성(城)을 보시고 우시는 역사적 예수(I)


예루살렘에 입성하신 후 예수는 성벽에 가까이 오셔서 성을 보시고 우신다. 그리고 예루살렘의 멸망에 관해 예언하신다. 예수의 예언은 평화의 도성인 예루살렘에 다가올 미래적 재난과 황폐에 관한 예지적(豫知的) 통찰이다. 예수는 예루살렘 주민들이 다가온 평화의 소식, 메시아의 오심을 알지 못하는 것을 안타깝게 여기신다. 이들은 정치적 메시아, 즉 영광의 메시아를 기대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다가올 예루살렘의 파멸에 대한 예고에서 예수의 예언자적 예지와 메시아적 통찰이 드러난다. 우리는 예루살렘을 보시고 우시는 인간 예수의 모습에서 예루살렘 거민들에게 임하는 재난과 파멸에 대하여 연대하시는 인간 되신 하나님의 연민성(憐憫性)을 찾아볼 수 있다.

I. 예루살렘에 대한 예수 탄식: 종말론적 예언

마태와 누가의 기록에 의하면 예수는 예루살렘에 입성하신 후에 예루살렘에 대해 깊은 종말론적 탄식을 하신다: “예루살렘아 예루살렘아 선지자들을 죽이고 네게 파송된 자들을 돌로 치는 자여 암탉이 그 새끼를 날개 아래에 모음 같이 내가 네 자녀를 모으려 한 일이 몇 번이더냐 그러나 너희가 원하지 아니하였도다 보라 너희 집이 황폐하여 버려진 바 되리라”(마 23:37-38; 눅 13:34-35a). 이 구절에서 우리는 예루살렘에 대한 예수의 연민과 사랑이 드러나는 것을 읽게 된다. 그의 패역한 백성에 대한 하나님의 사랑을 암탉이 병아리를 날개 밑으로 모으려는 모성애적인 표현으로 나타내고 계신다.
하나님은 이스라엘을 출애굽시키시고 그들을 광야에서 40년간 방랑생활하도록 하면서 연단시키시고 이들을 낮에는 구름기둥으로 밤에는 불기둥으로 인도하셨고 먹을 것이 없는 광야에서 만나와 메추라기를 주셨다. 이러한 그의 백성에 대한 하나님의 깊은 돌보심에 대하여 모세가 쓴 신명기는 다음같이 하나님의 말씀을 대언한다: “여호와께서 그를 황무지에서, 짐승이 부르짖는 광야에서 만나시고 호위하시며 보호하시며 자기의 눈동자 같이 지키셨도다. 마치 독수리가 자기의 보금자리를 어지럽게 하며 자기의 새끼 위에 너풀거리며 그의 날개를 펴서 새끼를 받으며 그의 날개 위에 그것을 업는 것 같이 여호와께서 홀로 그를 인도하셨고 그와 함께 한 다른 신이 없었도다”(신 32:10-12). 신명기에서는 하나님이 그의 백성을 황무지에서 자기 눈동자같이 지키셨으며 마치 독수리가 보금자리에서 새끼 위에 날면서 자기 새끼를 받으며, 업는 것같이 자기 백성을 돌보셨다고 증언하고 있다. 예언자 이사야도 동일하게 그 새끼를 돌보는 어미 새와 같은 하나님의 사랑을 증언하고 있다: “새가 날개 치며 그 새끼를 보호함 같이 나 만군의 여호와가 예루살렘을 보호할 것이라 그것을 호위하며 건지며 뛰어넘어 구원하리라 하셨느니라.”(사 31:5)
예수의 종말론적 탄식은 그의 백성에 대한 하나님의 끊임없는 사랑과 보살핌에도 불구하고 그 목이 굳어 하나님의 사랑을 알지 못하고 그 사랑을 배반하고 패역한 이스라엘 백성의 비극적 종말에 대한 탄식이다. 결국 예루살렘은 종말을 고하게 되는데 로마의 군대에 의하여 함락되고 주민들은 포로로 끌려가서 주민이 없는 텅 빈 처소가 될 것을 예언하신 것이다.

II. 예루살렘을 보시고 우시는 예수

복음서 저자 누가는 예수께서 예루살렘을 보시고 우시는 내용을 자세히 기록하고 있다: 예수께서 “가까이 오사 성을 보시고 우신다”(눅 19:41). 예수는 예루살렘성(城)과 그 주민의 비참한 운명에 관하여 예언하신다. 여기에 예수의 메시아적 통찰이 있다. 그것은 다가오는 미래를 직관하는 예언적 통찰이다.
예수는 말씀하신다: “너도 오늘 평화에 관한 일을 알았더라면 좋을 뻔하였거니와 지금 네 눈에 숨겨졌도다”(눅 19:42). “평화에 관한 일”이란 평화의 왕으로 오신 예수 자신에 관한 복음의 소식이요, 예수의 예루살렘 입성에 관한 일이다. 이 유일회적으로 일어난 구속사적 사건이 예루살렘의 종교지도자들과 주민들에게는 숨겨져 있다. 그들은 제도종교적 이데올로기로 가득 차 있어, 나사렛 예수라는 무명 종교인의 새 교훈을 받아들일 수 없었기 때문이다. 예수는 이 성(城)의 미래적 파멸에 관하여 예언하신다: “날이 이를지라. 네 원수들이 토둔(土屯)을 쌓고 너를 둘러 사면으로 가두고, 또 너와 및 그 가운데 있는 네 자식들을 땅에 메어치며 돌 하나도 돌 위에 남기지 아니하리니”(눅 19:43-44). 예루살렘은 그 후부터 종말에까지 이방민족이 그곳에 거하고 지배함으로써 거룩성을 상실하게 될 것이다. “예루살렘은 이방인의 때가 차기까지 이방인들에게 밟히리라”(눅 21:24).
파멸(破滅)의 원인은 하나님 섭리를 헤아리는 주민들의 지식의 부족이다: “이는 네가 보살핌 받는 날을 알지 못함을 인함이니라”(눅 19:44). 하나님의 행동은 그 때가 있다. 그 때는 하나님의 구원의 날, 바로 메시아의 오신 날이다. 그러나 예루살렘 주민들은 누구든지 메시아의 오심에 관하여 알려고 하지 않고 하나님의 백성들에게 제공된 구원을 받아들이지도 않는다. “권고하다”라는 말은 “돌보다”(눅 1:68; 눅 7:16)와 상응한다. 하나님의 백성들은 오신 메시아의 날을 알지 못한다. 오신 메시아에 대한 믿음도 없다. 당시 예루살렘 주민들은 영광스러운 모습으로 오는 정치적 메시아에만 관심이 있지 고난의 종으로 오신 구세주 메시아에는 관심이 없다. 그러므로 성은 파멸될 것이다. 예수는 예언적 통찰을 통하여 이러한 예루살렘의 미래를 보시고 우신 것이다.
예수는 나중에 끌려가셔서 십자가를 지시고 골고다로 가시는 도중에도 예루살렘에 다가올 재난에 대하여 예언하신다. 누가복음에서 나사렛 예수는 자기를 따라오며 울고 있는 여인들에게 말씀하신다: “예루살렘의 딸들아 나를 위하여 울지 말고 너희와 너희 자녀를 위하여 울라”(눅 23:28). “그들이 푸른 나무에도 이같이 하거든 마른 나무에는 어떻게 되리요 하시니라”(눅 23:31). 이 구절에서 “푸른 나무”란 예수 자신을 가리키며, “마른 나무”란 열심당원을 가리키고 있다. 이 말씀은 로마군에 의한 잔혹한 십자가 처형이 예수 자신에게와 더욱 가혹한 형벌이 열심당원에게 가해질 것을 예언하고 있다. 우리는 여기서 인간 예수의 연민성, 연대성을 발견한다. 그는 단순히 초인간적인 신인(神人)이 아니라 성정(性情)을 지닌 인간으로서 예루살렘성에 다가올 재난을 예지하시면서 우신 것이다. 역사적 예수는 예루살렘성에 다가올 참혹한 멸망의 미래를 보시고 그 속에 같이 멸망할 하나님 백성의 참혹한 미래를 내다보며 우신 것이다.

III. 성전(聖殿)의 종말

마가복음과 누가복음은 예루살렘 성전 파멸에 대한 예수의 예언(막 13:1-2; 눅 21:5-6)을 자세히 기록하고 있다. 마가에 의하면 제자 중 하나가 “이 돌들이 어떠하며 이 건물들이 어떠하니이까”라고 질문하고, 누가는 어떤 사람이 “그 아름다운 돌과 헌물로 꾸민 것을 말하매”(눅 21:5)라고 기록하고 있다. 마가의 기록에 의하면 예수께서 이르시되 “네가 이 큰 건물들을 보느냐. 돌 하나도 돌 위에 남지 않고 다 무너뜨려지리라 하시니라”(막 13:2). 누가의 기록에 의하면 “너희 보는 이것들이 날이 이르면 돌 하나도 돌 위에 남지 않고 다 무너뜨려지리라”(눅 21:6). “날이 이르면”이란 다가오는 40년 후(A.D. 70)에 일어날 예루살렘의 역사적 멸망을 시사한다.
성전이 황폐화 되는 것은 이미 성전이 그 본래적 기능을 상실하였기 때문이다. 예수는 장사터로 변한 성전의 불결해진 모습을 보면서 인간에 의해 건축된 유형적 건물인 성전에서 장사치를 내쫓으시면서 변질된 성전은 무너져야 한다고 말씀하신 것이다. 예루살렘 성전 중 오늘날 남아 있는 것은 헤롯이 주전 20년에 개축한 제2성전 벽의 서쪽 부분이다. 이 벽을 “통곡의 벽”이라고 부른다. 로마 디도(Titus) 장군이 제2성전의 다른 부분을 모두 파괴하고 유독 이 벽만을 남겨 놓은 이유는 후세 사람들에게 성전을 파괴시킬 수 있었던 로마군대의 위대한 힘을 보여주기 위한 것이었다. 이 “통곡의 벽”은 유대인들이 가장 성스럽게 여기는 곳으로서 옛 성전의 마지막 유물로 추앙하는 곳이다.
<다음 호에 계속>

글쓴이 프로필
글쓴이 : 김영한 (기독교학술원장 / 숭실대 명예교수)

몽양 여운형(1886-1947) 선생과 기독교 (2)
몽양 여운형(1886-1947) 선생과 기독교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