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예수교장로회연합회 교회동역자협회  

학술

 
작성일 : 16-12-28 21:43  기사 출력하기 글쓴이에게 메일보내기
 

가난하지만 즐거워할 줄 알아야


子貢曰 貧而無諂 富而無驕 何如
자공왈 빈이무첨 부이무교 하여

子曰 可也 未若貧而樂 富而好禮者也
자왈 가야 미약빈이락 부이호례자야


논어 제1장 학이의 계속이다. 그 해석은 다음과 같다.

“자공이 물었다. 가난하지만 아첨할 줄 모르고 부자인데도 교만하지 않으면 어떻습니까?(괜찮지요?)
공자가 말했다. 괜찮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그것은) 가난한 데도 즐거워하고 부자인데도 예를 좋아하는 것(사람)만은 못하다.”

제자 자공이 선생님이신 공자에게 물은 내용이다. 자공 자신은 나름 가난하지만 아첨할 줄 모르고 부자인데도 교만하지 않으면 괜찮은 사람이라고 생각했던 것 같다. 그리고 이렇게 말하면 그래도 선생님께 칭찬을 받을 것으로 생각했는지 모르겠다. 물론 자공의 예상대로 공자는 그 정도면 그럭저럭 괜찮은 것이라고 대답하기는 하였다. 

그러나 공자의 핵심은 그다음에 이어지는 말에 있었다. 가난하더라도 즐거워해야 한다는 것이다. 아마도 공자는 이 말을 제자 안연을 생각하면서 했던 말인 듯하다. 안연은 굶주림 속에서 공부했는데도 즐거워하였다. 그는 밥 한 그릇, 물 한 그릇으로 식사를 때워야 하는 가난함 속에 있었지만, 인을 행하는 즐거움을 결코 버리지 않았다. 안연은 이러한 생활을 즐거워하였다.

자공은 안연의 수준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자공이 공부하느라 또는 인을 행하느라 가난하지만, 부자에게 아첨하지 않으려고 한 것으로 보인다. 자공은 부자가 되고 싶은 생각도 있었다. 그러나 공부하는 사람으로서 부자가 되더라고 결코 교만해지지는 않겠다는 것이었다. 그가 보기에 아첨하지 않는 것과 교만하지 않는 것은 공부의 상당한 수준에 이른 것으로 보였다.

공자는 자공이 이 단계를 넘어서기를 원했다. 공자가 기대하는 공부의 경지는 가난하더라도 가난 그 자체를 즐김은 물론 그 상태에서 계속 공부하는 것을 즐거워할 줄 아는 것이었다. 부자가 되어서도 예를 좋아하고 그것을 배우기를 좋아해야 했다. 물론 자공은 이 말을 들고 나서 공자에게 지혜롭게 대답을 해서 공자의 칭찬을 받는 건 사실이다.(자세한 것은 다음 호에서 서술) 하지만 지금의 단계에서는 자공은 2% 부족하다.

가난함이란 누구에게나 경제적인 면에서나 건강 면에서나 공부나 취미 등 여러 부분에서 얼마든지 느껴질 수 있다. 가난함의 느낌은 수시로 찾아온다. 부함 역시 이러한 모든 분야에서 얼마든지 느껴질 수 있다. 부함의 느낌도 수시로 찾아온다. 하지만 사람은 가난함에는 빠르고 민감하게 반응하지만 부함에는 둔하고 더디게 반응한다. 부함에 대해서는 그 경계를 쉽사리 인정하려 하지 않지만 가난함에 대해서는 빠르게 경계를 짓고 쉽사리 단정하려 하기 때문이다.

공자가 말하는 지혜로운 사람은 먼저 가난함을 즐길 줄 아는 자이다. 자신이 부하다고 느낄 때는 예를 좋아하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사실 가난하게 사는 길 중에 이 가난을 즐거워하는 것보다 더 나은 방법이 없다. 또한, 부함을 즐기는 방법으로는 예, 곧 성현의 삶과 가르침을 즐기는 것보다 나은 것이 없다. 이것이 가난한 자와 부한 자가 함께 살아갈 수 있는 유학적 공동체의 삶의 방식이다.

그리스도인 공동체에서 가난한 자와 부한 자가 함께 살아갈 방법은 무엇일까. 바울은 부한 자는 자신을 부한 자로 여기지 말고 가난한 자는 자신을 가난한 자로 여기지 말라고 했다. 그는 또한 가난하든 부하든 일체의 상황에 적응하는 것을 배웠다고 했다. 야고보 사도는 인생의 삶을 포함해서 재물이든 지식이든 아침에 사라지는 안개처럼 여기라고 하였다. 그리고 위에 있는 것을 바라보며 살면서 땅에 있는 나를 죽여 가는 것이다.(골3:2∼3) 이것이 하나님을 믿는 하늘나라 시민이 살아가는 방식이다.

선한 그리스도인이여!
우리 그렇게 말씀을 배워가자. 가난해도 즐거워하고 부해도 말씀을 배우는 데 헌신하자. 그리스도인인 우리는 이러한 삶 속에서 사랑을 느끼며 함께 나누자. 사랑의 띠로 서로를 매자.(골3:14)

글쓴이 프로필
글쓴이 : 문태순 교육학 박사 백석대 전임교수

삶의 무의미성 찬미, 니체의 예리한 착각
니체의 ‘초인(超人)’: 또 다른 짐승의 운명